티스토리 뷰

반응형

이번에는 질병 이름만 들어도 걱정되고 불안한 서혜부탈장, 아구창(구내염), 제대육아종이 어떤 질병인지, 어떤 형태로 우리 아이에게 발생하는지, 어떻게 해결해주면 좋을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서혜부 탈장

서혜부(사타구니) 탈장은 성별에 관계없이 모두에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여자 아이는 난소가 복강 밖으로 내려오지 않지만 배 안에서 서혜부로 이어지는 길이 형성됩니다. 그러나 이 길이 막히지 않고 열린 상태가 되면, 배 안의 장기가 길을 따라서 빠져나올 수 있게 됩니다. 또한 남자아이는 엄마 배 속에 있을 때 고환이 배 안에 있다가 서혜부와 음낭으로 이어지는 길을 통해 내려오게 되면서 음낭에 고환이 자리를 잡고, 내려온 길은 저절로 막혀야 합니다.
이러한 서혜부 탈장은 주로 부모가 아기를 목욕시킬 때나 기저귀를 갈게되면서 발견을 합니다. 아이가 울거나 힘을 줄 때 서혜부 부위가 불룩하게 튀어나오는 것을 확인해야 합니다. 배에 힘을 빼거나, 울음을 그치게 되면 튀어나온 부위가 원상 복귀될 수 있으며 만졌을 때에는 말랑하고 보이는 증상이 없을 경우가 있습니다.
'감돈'은 간혹 탈장된 후 장이 복원되지 않는 상태를 말합니다. 감돈이 되면 아이가 심한 통증을 호소하며, 튀어나온 부위가 색깔이 변하고 단단하게 붓기도 합니다. 이런 상황에서는 응급실로 가서 외과 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탈장이 감돈 된 상태(복원이 안 되는 경우)에 장으로 가는 혈류가 떨어지거나 장이 꼬이면서 장의 괴사가 일어나는 것을 ‘교액’이라고 합니다. 이때는 즉시 응급으로 수술 할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 장 절제를 하게 될 수 있습니다. 특히 여자아이는 난소가 탈장낭을 통해 튀어나온 뒤 난관이 꼬이고 혈류가 떨어지면서 난소가 괴사 되는 경우도 있으니 유의해야 합니다. 
치료 방법은 수술이 유일하며, 수술 시기는 탈장의 복원 여부에 따라 달라집니다. 의료진의 검진 후 탈장이 잘 복원이 되는 상태라면 바로 수술을 할 필요는 없지만 빠른 시일 내에 수술하는 것이 좋습니다. 따라서 생후 1~2주 된 신생아도 탈장으로 진단받으면 가까운 시기에 수술을 받아야 합니다.
우리 아이에게 위험한 상황 발생을 막기 위해 서혜부 탈장은 발견 당시 합병증이 없더라도 이른 시일 내에 수술하는 것이 좋습니다. 소아 서혜부 탈장이 의심된다면 꼭 소아외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고 수술 시기를 결정해야 합니다.

 

- 영유아 아구창 (구내염)

아구창이라고 불리는 질환은 칸디다라는 곰팡이균에 의해서 발생하는 일종의 구내염입니다. 곰팡이균이 과다증식하면 아기의 입안 구강점막에 잘 닦이지 않는 하얀 백태가 끼게됩니다. 아구창은 우유를 자주 먹는 시기의 신생아와 영유아 아기들에게 나타납니다. 이 시기 아기들은 특별한 구강 관리를 하지 않기 때문에 곰팡이가 자리 잡기 좋은 환경이 됩니다. 이 아구창이 생기는 이유 중 다른 하나는 감기나 설라고 인해 병에 대한 저항력이 떨어지게 되거나, 혹은 항세제 복용으로 인해 유익한 박테리아 수가 감소할 때 갑자기 칸디다 곰팡이가 증식하게 되면서 더 잘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곰팡이균은 따듯하고 축축하고 당분이 많은 곳에서 잘 번식해서 엄마의 유두 또는 젓, 우유가 묻은 아이의 입에 생기게 되고, 분유를 먹는 아이의 경우 제대로 씻기지 않고 소독되지 않은 젖병꼭지나 쪽쪽이를 통해 감염이 되기도 합니다.

아구창은 입천장이나 볼 안쪽, 잇몸, 혀 부위에 우유 알갱이가 낀 것 처럼 보이기도 하는 반점의 모양을 하고 있으며 때에 따라 통증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가제 수건으로 살짝 닦아냈을 때 사라진다면 우유 찌꺼기일 수 있지만 아구창일 경우에는 쉽게 닦이지 않고 하얀 반점 밑으로 피가 나며 빨갛게 일어날 수 있습니다. 쉽게 닦이지 않는다고 너무 세게 닦아낼 경우 피가 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아이가 아구창이 생겼을 경우 아무 증상이 없어도 엄마도 함께 항진균성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그래야 모유수유를 통해 다시 아기가 감염되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아픈 아구창이 생기기 전에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은 우유나 음식물을 먹인 후 가제수건으로 닦아내 주거나 음식물을 먹인 뒤 약간의 물을 더 먹여 입안의 음식물 찌꺼기가 남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신생아는 물을 너무 많이 주면 안 되기 때문에 약간의 물 또는 가제수건으로 닦아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또한 접촉만으로도 감염을 일으킬 수 있으니 보육자의 손과 구강을 청결하게 유지하고 모유수유를 한다면 엄마의 유두도 잘 닦아 청결하게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 제대육아종

 

탯줄은 보통 생후 7~14일 정도지나면 점점 말라가면서 떨어지게 됩니다. 탯줄이 떨어진 자리에는 아기의 소중한 '배꼽'이라는 것이 생기게 됩니다. 탯줄이 오랫동안 떨어지지 않게 된다면 여러 감염이나 출혈의 위험성이 증가하게 됩니다. 3~5주의 시기가 지나도 탯줄이 떨어지지 않는다면 꼭 병원에 방문하여 진료를 받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배꼽을 소독하는 방법에는 탯줄이 떨어지기 전까지 통목욕보다는 손수건으로 자극이 가지 않도록 살살 닦아주는 것이 좋습니다. 씻거나 배꼽을 소독하는 것보다 중요한 게 건조입니다. 보통 거즈나 수건으로 건조하는 것이 좋을 것 같지만 자연건조를 해주는 것이 더 좋습니다. 소독은 매일 해주는 것을 권장드리며 만약 상태가 안 좋을 경우 수시로 (올바른 방법으로) 소독을 해주는 것도 방법이 됩니다. 소독은 생리식염수, 70% 알코올 소독으로도 충분합니다. 배꼽에서 나타나는 이상 증상에는
1. 배꼽 육아종
냄새, 진물, 피가 나는 경우에 배꼽 육아종일 확률이 높습니다. 탯줄이 떨어지고 일부 조직들이 배꼽에 남아서 발생합니다. 보통은 자연스럽게 증상이 좋아지지만, 수술용 실로 육아조직을 묶어 제거하거나 질산은이라는 약물로 해당 부위를 지혈하는 등의 치료를 하기도 합니다.
2) 제대염
배꼽 주변이 붉게 부어오르고 냄새, 노란 진물 이 나오는 경우 제대염의 가능성이 높습니다. 소독이 제대로 안되어 세균감염이 생겨 염증이 발생하게 됩니다. 제대염은 초기에 제대로 치료하지 않으면 복막염, 패혈증, 간농양 등 부작용이 생기기 때문에 조기에 소독과 항생제 치료를 해줘야합니다.
3) 배꼽 튀어나옴
신생아의 배꼽이 튀어나와 있는 경우,대부분은 배꼽 탈장으로 볼 수 있다고 합니다. 탯줄이 배 안으로 들어가는 통로의 근막이 아직 완전히 닫히지 못한 경우, 배꼽이 튀어나오는 증상이 생깁니다. 대부분의 경우 자연적으로 호전되기 때문에 치료하지 않아도 되지만 과하게 튀어나왔을 경우 병원에 방문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